명사수 우리 민족

김지호

예로부터 활쏘기는 목표물을 쏘아 맞히는 것을 겨루며 노는 무술연마 놀이의 하나였다. 우리 나라에서 활쏘기는 오랜 역사적 연원을 가지고 있다.

삼국시대 활쏘기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덤벽화들과 기록을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이 시기의 활쏘기 연습과 경기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로, 고정 목표물을 세우고 말을 달리면서 활을 쏘아 맞히는 것이다.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리 벽화무덤(408년)에 그려진 활쏘기 경기 장면은 사냥과 전투를 위하여 사격술을 익히고 있는 고구려인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마사희’라고 씌여 있는 벽화에는 긴 말뚝 5개에 목표 1개씩을 세우고 4명의 사수가 활쏘기 경기를 하는 장면이 있다. 옆에는 심판원 두 사람, 기록수(주기인) 한 사람이 서서 경기과정을 지켜보고 성적을 적어 넣으면서 경기를 진행하는 장면이 생동하게 그려져 있다.

덕흥리 벽화무덤 마사희.jpg 마사희 복원그림.jpg

둘째로, 이동목표를 선 자리에서 쏘아 맞히는 것이다. 그것은 다음의 이야기를 통하여 알 수 있다. 고구려왕 고주몽의 아들 유류가 어렸을 때부터 활쏘기를 잘하였다. 그가 얼마나 활을 잘 쏘았던지 날아가는 참새도 활로 쏴 떨구었다. 하루는 지나가던 여성이 이고 가는 물동이를 쏘아서 구멍을 냈다. 그 여성이 화를 내자 이내 화살에 진흙을 발라 다시 쏘아서 그 구멍을 막았다고 한다. 이것은 하나의 설화에 지나지 않으나 당시 사람들이 활쏘기 기술을 연마하기 위하여 정상적으로 활을 들고 다니면서 새나 들짐승이 나타나면 쏘아 맞히면서 겨루기도 하고 연습도 하였다는 것을 말해주는 실례이다.

셋째로, 이동목표를 같이 움직이면서 쏘아 맞히는 방법이다. 인물풍속도를 그린 수많은 고구려 무덤의 벽화에는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그림들이 적지 않다. 달아나는 범을 쫓아가며 활을 쏘는 장면, 산골짜기를 달리며 노루나 사슴을 활로 겨누는 장면 등이 생동하게 그려져 있다. 곰, 범, 노루들을 집단적으로 말을 타고 사냥하는 장면을 그린 남포시 강서구역 약수리 무덤(5세기초) 벽화에는 한 개의 화살로 세 마리의 노루목을 단번에 꿰뚫은 그림이 생동하게 그려져 있다. 좀 과장한 그림이나 고구려인들이 평소에 활쏘기를 잘 연마하였고 그것은 실제 사냥에서 결과를 나타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약수리 벽화무덤 사냥장면.jpg 약수리 사냥장면 복원그림.jpg

활쏘기는 고려시대에 더욱 발전되었다. 이 시기의 기록들에는 활쏘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져 있다. 이 시기의 기록들에는 활의 이름, 화살재료, 활쏘기 장소인 사정의 설치, 활쏘기 경기 등에 대한 내용이 잘 밝혀져 있다. 12세기 초의 책인 『계림유사』에는 당시 활을 ‘활’이라고 하였고 ‘활쏘기’를 ‘활쏘아’(활색)라고 했다는 것이 쓰여져 있다. 이것은 오랜 옛날부터 활과 화살, 활쏘기 등을 ‘활’, ‘화살’, ‘활쏘아’ 등의 고유한 이름으로 불러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기 활쏘기는 군대에서는 물론 민간에서도 널리 진행된 민속놀이의 하나였다. 12세기 중엽에 국왕 의종이 신하들을 데리고 서도(평양)에 갔는데 하루는 양경(개경, 서경)의 문무 관리들을 시켜 과녁판 위에 촛불을 꽂고 야간 활쏘기를 진행하였다. 그 때에 서도사람 가운데서 여러 사람이 과녁판을 맞혔다. 이 자료는 당시 고려에서 야간 활쏘기를 흔히 했고 평소에도 백성과 군사들이 야간 활쏘기도 많이 하고 겨루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늘날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대회 양궁 경기에서 남녀 개인, 단체를 가리지 않고 메달을 석권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라 수천년 역사의 산물일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