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우리나라 미술사
우리나라 원시시대 유물들 가운데는 여러 가지 무늬와 색칠로 장식한 질그릇 그리고 진흙 혹은 뼈, 돌로 만든 인형과 짐승조각들, 뼈피리, 치레품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우리나라 미술이 오랜 발전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고조선 시대에 이르러 이미 비파형 단검, 잔줄무늬거울, 금동 말관자를 비롯한 수레부속품들, 금 띠고리, 옻칠그릇 등 세련된 공예품들을 비롯하여 우수한 미술작품들을 창조한 우리나라 미술은 삼국시기에 이르러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더욱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고 훌륭한 민족적 특성을 나타냈으며 멀리 외국에까지 전파되어 이름을 떨쳤다.
고구려의 화가 담징, 백제의 화가 양귀문 등 많은 화가, 조각가, 건축가, 장공인들이 일본에 건너가 이 나라 미술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 있는 법륭사의 벽화들, 나무공예 《옥충주자》, 조각 《백제관음》, 광륭사의 조각 《미륵반가사유상》, 중궁사의 수예품 《천수국수장》 등은 우리나라 미술가들의 높은 예술적 재능과 그들이 일본 미술발전에 준 영향을 잘 보여준다.
일본 백륭사에 있는 옥충주자와 백제관음상
일본 광륭사에 있는 목조미륵반가상
일본 중궁사에 있는 천수국수장
삼국시기의 미술은 그 이후 발해, 고려시기 미술발전을 위한 토대로 되었다. 상경의 돌등, 정혜공주무덤에서 나온 돌사자, 《삼색도기》와 사기들, 칠물을 바른 기와와 벽돌, 공예품 등은 발해미술의 발전정도와 특성을 뚜렷이 보여준다.
중국 목단강시 발해박물관에 있는 발해 삼채 도자기
고려시기에는 색과 문양, 모양이 특출하여 세상 사람들이 보물처럼 여기는 고려자기를 만들어 우리나라의 이름을 온 세상에 떨쳤다. 고려시기에는 오동향로, 놋거울 등을 비롯한 금속공예와 자개박이 옻칠공예, 왕골공예, 부채공예 등도 높이 발전하였다. 고려의 화가 혜허가 그린 《관음도》는 고려시기 회화의 형상수준을 잘 보여주며 《예성강 풍경》을 그린 12세기의 화가 이녕이 송나라 왕의 초청에 의하여 그 나라 한림원 미술가들에게 자기의 우수한 화법을 배워준 사실은 외국에 준 고려회화의 영향에 대하여 잘 말해준다.
일본 센소지에 있는 혜허의 수월관음도
조선시기에는 초상화, 산수화, 화조화, 동물화, 사군자 등이 독자적인 회화종류로 발전하였으며 주관주의적 미술조류인 《문인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5세기의 화가 안견의 《꿈에 본 도원》, 이상좌의 《달밤에 소나무 밑을 거닐며》, 16세기의 조선화 《산과 물을 다스리다》, 리암의 《고양이와 강아지》, 18세기의 《농민생활도》, 정선의 《반석》, 《옹천의 파도》, 19세기 장승업의 《연못가의 물촉새》, 우진호의 《농민생활도》, 판화 《평양성도》 등은 이 시기의 대표적인 회화유산들의 일부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생활을 진실하게 반영하였을 뿐 아니라 조선화의 힘있고 아름다운 화법적 특성을 잘 살리고 있다.
일본 덴리대학 도서관에 있는 안견의 몽유도원도
용산 중앙박물관 소장 이상좌의 송하보월도
평양박물관 소장 이암의 화조묘구도
용산중앙박물관 소장 정선의 신묘년풍악도첩 중 옹천
장승업의 연못가의 물촉새 그림이 있는 북한 우표세트
우진호의 농민생활도
1920년대에 들어와서는 노동계급적 입장에서 일제 식민지 통치의 본질과 가혹한 자본주의적 착취의 제 현상을 폭로한 만화, 선전화를 비롯한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Soci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