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설

김지호

근대시기 애국문화운동가들은 소설작품을 통한 대중계몽사업에 큰 힘을 쏟았다.

지식인들은 신소설 작품 창작을 통한 대중계몽사업을 활발히 벌였다.

신소설은 근대에 들어오면서 중세 소설을 혁신하여 출현한 새로운 양상의 소설이다.

우리 나라에서 신소설의 첫 작품은 1906년에 발표된 이인직의 ‘혈의 누’이다.

신소설은 당시의 시대적 요구와 문학발전의 요구를 반영하여 출현하였다. 당시 애국문화 계몽운동이 벌어지고, 모든 분야에서 근대적 면모의 풍조가 시대적 흐름을 이루고 있던 조건에서 소설도 당연히 반봉건, 반침략, 문명개화를 지향하는 시대의 요구와 민중의 미학적 수요에 적극 따라나서야 했다.

중세소설의 낡은 내용과 형식의 답습으로는 근대 시기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 봉건의 굴레로부터 민권을 옹호하고, 민중들을 계몽하며, 외래 침략자들에게 빼앗긴 국권을 되찾고 우리 나라를 자주적이고 문명한 나라로 발전시키려는 애국적 지향을 반영하여 내용에서나 형식에서 기존 소설의 틀을 깬 새로운 형식의 소설이 창작되었다.

신소설은 이인직과 이해조를 비롯하여 최찬식, 김교제, 안국선, 구연학, 이상엽, 박영진, 육정수, 김익수, 남궁준 등 많은 작가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이 시기에 나온 대표적인 신소설 작품들은 ‘혈의 누’, ‘귀의 성’(1908), ‘치악산’(1908), ‘빈상설’(1908), ‘구마검’(1908), ‘자유종’(1910) 등을 들 수 있다.

‘혈의 누’는 1906년에 이인직(1862~1916)이 만세보에 발표한 작품이다.

이인직은 어려서부터 시대 사상에 눈을 뜨고 청년시절에 개화사상에 공감하였으며, 일본 유학을 마치고 1903년에 돌아와 만세보의 주필로 있으면서 진보적인 문필활동을 하였다. 1907년 만세보가 친일파 이완용 내각의 어용신문인 대한신문으로 된 뒤 그 사장으로 있으면서 그는 점차 조국과 민중을 배신하는 길을 걷게 되었으며 친일적인 경향으로 기울어졌다. 그는 말년에 매국노들과 휩쓸려 일제에게 협조함으로써 씻을 수 없는 치욕을 남겼다.

‘혈의 누’(일명 모란봉 또는 추월색)는 청일전쟁으로 파란을 겪게 된 김관일 일가의 운명을 보여주면서 문명개화와 낡은 봉건폐습의 타파, 자유결혼 등에 대한 사상을 반영하였다.

작품에서 김관일 일가가 파산하게 된 배경으로 청일전쟁을 설정하고 김관일이 해외로 떠날 때 우리 나라 사람이 남의 나라 싸움에 이러한 참혹한 일을 당한다고 분노를 토하면서 그것은 다 우리 나라가 강하지 못한 탓이라고 생각하며, 각국을 다니면서 남의 나라 구경도 하고 공부 잘한 후에 내 나라 사업을 하겠다고 다짐하는 것을 그린 것은 문명개화의 사상적 지향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작품에서는 옥련 모녀가 위기로부터 구원되고 특히 노상에 쓰러졌던 옥련이 일본군 군의에 의해 구조되고 일본에 있는 그의 집에서 양육되게 한 것을 비롯하여 일제의 침략성과 교활성을 바로 보지 못하고 환상적으로 대한 것과 같은 사상적 결함들을 나타내었다.

이인직은 ‘혈의 누’를 발표한 다음 ‘귀의 성’, ‘치악산’ 등 반봉건, 문명개화에 대한 사상적 지향을 담은 신소설들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이 시기 이인직과 함께 신소설의 대표적인 작가의 한 사람인 이해조(1869~1927)도 많은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빈상설’, ‘구마검’, ‘자유종’은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소설 ‘빈상설’은 가정윤리 문제를 중심으로 낡은 봉건도덕의 부패성과 가부장적인 일부다처제의 문제점을 폭로하면서 문명개화를 지향하는 새로운 역량의 성장을 보여주었으며, ‘구마검’에서는 원래 미신을 믿지 않던 서울에 사는 부자 함진해가 세번째로 들어온 첩 최씨의 허풍에 말려 무당들에게 속아 첩과 무당 놀음만 하다가 살림을 다 털어먹고만 이야기를 통하여 미신의 허황성과 해독성을 비판하였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무당들인 만신, 금방울과 노파가 사전에 함진해의 살림을 거덜 낼 계책을 꾸미는 것을 통해 미신의 허울 아래 벌어지는 재물에 대한 탐욕과 술책을 폭로하였다.

소설 ‘자유종’은 어느 부인의 생일잔치에 모인 여러 부녀자들이 나누는 이야기를 통하여 당시 자주독립, 문명개화를 이룩하는데서 중요하게 나서는 의의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해답을 주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교육을 확장하고 상공업을 발전시키며 모두가 분발하여 자주권을 회복할 것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이 시기에 창작되고 민중들 속에서 널리 애독된 신소설들은 자본주의적 관계의 성장에 따라 날로 허물어져가는 봉건사회의 부패성과 몰락과정을 사실주의적 화폭으로 재현하고 독립과 문명개화, 민권옹호 사상을 고취함으로써 당시 민중을 반봉건 애국사상으로 교양하고 계몽시키는 데서 큰 역할을 하였다.

물론 신소설은 작가들의 계급적, 세계관적 제한성으로 말미암아 봉건사회제도에 대한 비판이 철저하지 못하고 그것을 근본적으로 변혁하기 위한 과학적인 방도를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일부 작품들의 경우에는 민중들의 반침략 애국투쟁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표시하는 본질적인 약점도 나타내었다. 또한 많은 신소설 작품들은 일제의 폭압이 점차 강화되자 현실이 제기하는 사회정치적 문제를 외면하고 가정세태생활과 퇴폐적인 연애, 종교적 관념을 설교하면서 민중의 민족적 각성과 계급의식을 마비시키는 해독적인 작용까지 하였다.

그러나 작가들의 계급적 처지와 사회정치적 견해의 제약성에 기인한 일련의 부족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창작된 진보적인 신소설들은 국권회복과 근대화를 실현하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사회정치적 문제들을 주제로 삼아 민중들을 반일애국사상, 반봉건 사상으로 계몽각성시키고 그들을 반일 독립운동과 사회적 진보를 위한 투쟁으로 이끄는데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