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안학궁터 (安鶴宮址)

작성자
역문협
작성일
2021-03-05 15:14
조회
981
지역 : 평양시 대성구역 안학동

시대 : 고구려

유형 : 궁전

▷지정번호 :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급 제2호

현재 평양시 대성산 기슭에 터만 남아 있는 고구려의 옛 왕궁이다. 장수왕이 평양으로 천도한 427년에 축조되었으며, 평원왕 시기인 586년 현재 평양의 중심부에 세워진 장안성으로 다시 천도할 때까지 149년간 고구려의 수도였다.

안학궁은 1958년부터 발굴이 이루어져 그 거대한 실체가 드러났다. 한 변의 길이 622m의 서쪽으로 약간 비스듬한 사각형 토성과 해자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그 안의 부지 면적은 38만m²에 달한다. 부지에서는 무려 3,240개의 주춧돌이 확인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총 52채의 건물들이 5개의 군으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가적인 큰 행사를 하던 남궁, 왕이 일상적으로 정사를 보던 중궁, 왕이 일상적인 생활을 하던 북궁, 왕위를 이을 태자가 살던 동궁, 궁전에서 복무하는 사람들이 살던 서궁을 중심으로 한 궁전들은 모두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궁성의 부지는 북쪽으로 갈수록 지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지형을 따라 건물군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곧 뒤로 갈수록 건물들이 높아 보이는 효과를 내며 웅장함을 강조하였다. 건물들을 이어주는 회랑은 뒤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져 궁성을 실제보다 더욱 깊어 보이게 한다.

현재는 터만 남아 있어 당시 건물의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없지만, 출토된 치미기와와 주춧돌들을 통해 그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지붕 위에 장식되는 치미기와는 안학궁터 출토품이 높이 2.1m로서, 높이 1.86m인 신라 최대규모 사찰인 황룡사지 출토 치미기와보다 더 큰 크기를 자랑한다. 주춧돌들을 통해 측정한 안학궁의 중궁 1호 궁전의 전면 길이는 87m, 측면 길이는 27m이다. 이는 전면과 측면 길이 각 75.9m, 41.3m인 당나라 황궁 대명궁의 정전 함원전에 뒤지지 않는 규모이며, 축조 시기도 200년이나 앞서고 있다. 이 밖에도 안학궁터 동남쪽에서 발견된 정원터와 남궁의 서쪽에서 발견된 인공호수, 그리고 각종 건물에 덮었던 귀면문·격자문 등의 화려하게 장식된 기와들은 궁성이 얼마나 화려했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모습들을 통해 당시 고구려의 국력이 강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평상시 왕은 이곳에 거주하며 정사를 돌보았고, 귀족들이나 일반 백성들은 궁성의 외곽에 거주하였다. 안학궁의 뒤편 대성산에는 산 능선을 따라 총 길이 9,234m, 둘레 7,076m의 성곽을 축조하였는데, 식량과 무기를 비축하여 전쟁과 같은 비상시에 왕을 포함한 백성들이 이곳으로 이동하였다. 이렇게 평지성과 산성이 한 조를 이루는 체제는 고구려의 도읍지였던 졸본(하고성자토성-오녀산성)과 국내성(집안 통구성-위나암성)에서도 보이는 전통적인 고구려의 도성체제이다.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였던 집안의 국내성은 안학궁과 같은 평지성이었지만, 현재는 서벽과 북벽, 남벽의 일부만 남아 있고 궁전의 흔적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이에 반해, 안학궁은 그 터를 비롯해 성벽, 해자, 기와를 비롯한 여러 유물이 남아, 5세기 고구려 기와와 건축물의 특징, 고구려 도성체제 연구 등 고구려 고고학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게 만들어주었다. 또한, 우리나라 고대 건축 유적 가운데 처음으로 등장하는 대규모의 건축물이며, 동양에서도 흔치 않은 웅장한 목조건축 유적인 안학궁은 당대 동북아시아 최강국이었던 고구려의 기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이다. (이정훈)

<참고문헌>
김일성종합대학 고고학 및 민속학강좌, 1973, 『대성산의 고구려 유적』,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이형구, 2012, 『한국고대문화의 비밀』, 새녘출판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검색어: 안학궁 (http://portal.nrich.go.kr)

안학궁지 건물배치도

Ⓒ『대성산의 고구려 유적』

안학궁 복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소문봉중턱에서 바라본 안학궁터

Ⓒ『평양일대 고구려유적』

안학궁 남동문터

Ⓒ국립문화재연구소

안학궁 출토 치미

Ⓒ고대신문

안학궁 귀면판

Ⓒ국립문화재연구소

구글어스로 바라본 안학궁터 위성사진

ⒸGoogle

안학궁 복원도

정회원이 되세요

남북역사문화교류협회